2019.3에 포함된 가장 주목할 만한 아티스트 및 디자이너 툴을 확인해 보세요. 자세한 내용은 릴리스 노트를 확인하세요.
애니메이션 리깅 - 타임라인 지원(프리뷰)
타임라인 내 애니메이션 리깅(프리뷰)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. 이 패키지를 통해 애니메이터 및 비전문가는 더 손쉬운 방식으로 애니메이션을 게임 시퀀스 내에서 미리 보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. 타임라인 트랙을 믹싱 및 블렌딩하여 씬에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애니메이션을 만들거나 전용 3D 애니메이션 패키지로 이동(roundtrip)할 필요 없이 빠르게 에디터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. 이전 릴리스의 애니메이션 창 및 릭 이펙터와 통합되므로 Unity에서 강력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애니메이션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
DOTS에 기반한 아티스트용 툴 개발
DOTS 샘플 프로젝트가 릴리스되어 Unity 2019.3에서 데이터 지향 기술 스택(DOTS)에 기반한 모든 컴포넌트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엔티티 패키지(프리뷰)에는 특히 디자이너와 관련된 이러한 기능 중 두 가지 기능이 포함됩니다. 전환 워크플로를 사용하면 클릭 한 번으로 게임 오브젝트를 엔티티로 전환하여 DOTS의 기능을 활용하면서도 이미 익숙한 워크플로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. Unity 라이브 링크(Live Link)를 통해 에디터 내에서 실시간으로 변경 사항을 적용하고, 이를 타겟 디바이스로 푸시하여 실제 기기에서 어떻게 보이고 실행되는지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또한 이제 새로운 DOTS 애니메이션 툴이 프리뷰 패키지로 최초 제공됩니다.
2D 월드 구축 툴
2D 타일맵 에디터를 사용하면 게임 제작자는 타일맵 기능이 포함된 대형 2D 월드를 제작할 수 있으며, 2D 엑스트라를 통해 애니메이션 타일이나 자동으로 인접 타일과 일치하는 그래픽이 표시되는 타일에 대한 지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또한 2D 스프라이트 셰이프를 통해 쉽게 2D 월드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. 이 툴은 유기적인 스플라인 기반의 2D 터레인 및 오브젝트에 맞게 설계되었으며, 직관적인 에디터가 제공되어 가장자리, 모서리 및 채우기 형상을 정의하고, 자동으로 콜라이더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스프라이트 셰이프 엑스트라(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제공)를 사용하면 콘포밍 스플라인(Conforming Spline)과 같은 기능을 추가하여 오브젝트를 스플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라이트 셰이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
두 가지 툴 모두에 성능이 우수한 렌더러가 포함되며 2019.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D PSD 임포터
2D PSD 임포터를 이용하면 여러 레이어로 구성된 포토샵 이미지를 Unity로 직접 임포트할 수 있으므로 레이어 정보와 스프라이트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. 이 툴은 개별적으로 포토샵 레이어를 스프라이트로 익스포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2D 애니메이션 리깅에 특히 유용하며 시간을 절약해 줍니다. 이 기능은 2019.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D 애니메이션
스프라이트를 사용하여 Unity에서 직접 리깅, 테셀레이션 및 뼈대 생성을 비롯한 골격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 2D 애니메이션 패키지는 스프라이트 에디터 내 필요한 모든 툴을 제공합니다. 이 툴은 2D PSD 임포터를 지원하여 캐릭터의 부위를 임포트할 수 있고, 2D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여 키프레임 또는 커브가 있는 리깅이 완료된 캐릭터를 애니메이션화합니다. 이 패키지는 2019.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실험 기능인 스프라이트 스와핑 기능을 사용하면 외형은 다르지만 애니메이션과 리깅은 동일한 여러 캐릭터 또는 부위를 빠르고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.
2D 픽셀 퍼펙트 및 시네머신 업데이트
2D 픽셀 퍼펙트 카메라를 사용하면 픽셀 아트가 여러 해상도에서 움직이거나 회전하더라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스탠드얼론 패키지는 이제 2019.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시네머신 픽셀 퍼펙트 확장 기능은 시네머신 가상 카메라를 위한 확장 기능입니다. 이 기능은 2D 픽셀 퍼펙트 컴포넌트를 감지하고 픽셀 해상도에 기반하여 알맞은 직교 카메라 크기와 포지션에 맞게 해당 컴포넌트의 설정을 사용합니다.
보조 텍스처 및 2D 섀도우
2019.2에 도입된 실험 기능인 2D 광원으로 2D에도 동적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제 스프라이트 에디터에는 새 옵션인 보조 텍스처가 포함됩니다. 이 툴을 통해 노멀 맵 또는 마스크 맵을 2D 스프라이트에 추가하여 광량을 시뮬레이션하고 2D 광원에 더 사실적으로 반응하게 할 수 있습니다. 2D 애니메이션용으로 제작된 것을 비롯한 보조 텍스처를 스프라이트 셰이프, 타일맵, 스프라이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
2D 섀도우는 2019.3에 포함된 새로운 실험 기능입니다. 새로운 섀도우 캐스터(Shadow Caster) 2D 컴포넌트를 게임 오브젝트에 추가하고, 2D 광원 소스에 기반한 섀도우를 동적으로 드리우는 형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모든 2D 광원 유형에는 이제 강도 또는 불투명도 등 광원 소스로부터 섀도우가 어떻게 형성되어야 하는지 설정할 수 있는 새 파라미터가 포함됩니다.
터레인 업데이트
이제 동굴, 우물 또는 참호 등 더 정교한 지오메트리와 더 복잡하고 사실적인 씬을 위해 터레인에 구멍을 생성하는 작업이 더 쉬워집니다. 페인트 서피스 마스크(Paint Surface Mask) 툴을 사용하면 브러시를 선택한 다음 머티리얼을 칠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터레인에 구멍을 칠할 수 있습니다.
이 업데이트는 물리, 내비게이션 메시 또는 라이트매핑과 같은 다른 Unity 시스템을 원활하게 지원합니다. 또한 프로그래머는 스크립팅을 통해 터레인 구멍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커스텀 터레인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터레인 머티리얼 페인팅도 개선되어 복잡한 터레인을 칠하고 워크플로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 최근에는 터레인 워크플로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유틸리티 툴박스뿐 아니라 15개의 새로운 조형(sculpting) 툴도 도입했습니다. 이러한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프리셋
프리셋을 사용하면 코딩 없이도 컴포넌트, 임포터, 매니저 등 Unity의 거의 무엇이든 기본 상태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. 프리셋을 통해 더 유용한 시작점을 만들어 예술 및 디자인 워크플로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 또한 선택한 심미적 요소와 디자인을 기록하고 문서화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팀이 규모가 큰 씬에 규칙을 적용하기 쉽게 만들어 일관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2019.3에서 프리셋 매니저는 유형당 두 개 이상의 기본값을 허용합니다. 즉 여러 기본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, 명명 규칙에 따라 매우 구체적인 프리셋 동작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
타사 렌더러 머티리얼
Unity는 이제 타사 렌더러 머티리얼을 지원합니다. 이를 통해 개발자는 선택한 렌더러 머티리얼에 대한 지원을 추가하여 프로퍼티가 Unity 내에 올바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면 머티리얼을 처음부터 다시 빌드할 필요성이 줄어들어 콘텐츠 제작 파이프라인과 룩 디벨롭먼트(look development) 프로세스가 단순화됩니다. Unity 2019.3은 Autodesk Arnold Standard Surface 셰이더, Autodesk 3ds Max 물리 머티리얼 및 Autodesk Interactive Shader 등의 여러 머티리얼을 지원합니다.